education

구성주의 교수 이론

bluebird2 2010. 1. 6. 00:21

1. 인지적 도제교수법

(1) 개요
① 인지적 도제교수법은 사회, 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지식이 구성되고 인지발달이 이루어진다는 비고츠키(Vygotsky)의 이론에 근거한다.
② 도제 제도는 초보자가 실제 장면에서 전문가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하고, 이를 모방하여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식과 기능을 연마하는 것을 익히도록 되어 있다.
③ 이 교수법은 실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도제교육의 장점을 최대한 수용하되, 이를 창의적, 반성적 사고와 문제해결 등과 같은 고등정신 기능을 학습하는데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교수-학습방법이다.

(2) 교수법의 전개
① 모델링(modeling): 전문가인 교사가 시범을 보이면 학습자는 전문가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관찰함
② 코칭(coaching):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면 교사는 학습자에게 코멘트를 해주고, 잃어 버렸던 것, 잘못된 것 등을 일깨워주고, 격려해주고, 환류를 시켜준다.
③ 비계설정(scaffolding): 교사는 학습자와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며 학습에 도움을 주는 디딤돌 역할을 한다. 학습자가 학습한 지식과 기능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모델링과 피드백을 통한 구체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학습자가 익숙해지면 이를 감소시켜 나간다.
④ 명료화(articulation): 학습자가 자신이 구성한 지식과 수행 기능을 시범을 보이거나 설명하도록 하여, 자신이 습득한 지식, 기능, 이해, 사고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하도록 한다.
⑤ 반성적 사고(reflection): 학습자는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문제해결과정을 전문가인 교사가 하는 것과 비교하여, 반성적으로 검토한다.
⑥ 탐구(exploration): 학습자는 자신의 지식과 기능, 태도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방략을 탐색한다.

 

 

2. 상황학습

(1) 이론의 개요
① 상황학습이란 실생활의 유용성을 반영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식과 기능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을 말함.
② 이는 인지적 도제 교수법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학생들이 실제적 성격의 과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개인적 견해와 사고의 틀을 가지도록 하려는 교수법으로 학생 주도의 문제형성-해결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예컨대, 수학 기능 학습의 경우, 은행일이나 쇼핑 상황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2) 상황학습의 장점
① 다양한 상황에서의 지식 활용법: 쇼핑이나 은행일 보기와 같은 산술기능의 대표적 맥락 속에서 산술 기능을 학습할 경우 이를 비행기표 사기나 회계업무 보기와 같은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② 발명의 촉진: 실제 문제나 상황과 관련된 지식을 다룸으로써 이러한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유연성 있게 활용하는 방법을 터득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③ 지식의 함의 파악: 맥락이 가미된 학습이 이루어질 경우, 학생들은 지식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④ 지식의 구조화: 맥락이 배제된 단편적인 지식의 학습은 지식을 기계적으로 암기하는데 그치지만, 맥락 속에서 지식을 익힐 경우 지식을 활용하기에 적합하게 구조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

(1) 의미 : 문제중심학습이란 학생들이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나름대로의 인지적 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학습법이다.

(2) 특징
① 구조: 문제중심학습은 ‘협동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이루어진다.
② 학습자 주도의 학습: 과제가 주어지면 팀으로 나누어 각 팀에서 그 과제를 통해 자신들이 학습하게 될 ‘학습목표’를 결정하도록 한다. 즉 학습자 자신들이 주어진 과제를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것을 스스로 결정하게 함으로써 학습자 주도적 학습을 실현한다.
③ 안내자로서의 교사: 교사는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사고하고 학습해 갈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익히도록 자기성찰적 사고와 활동을 적극 권장하고 지도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3) 목표 : 문제중심학습의 목표는 ① 문제해결능력  ② 관련분야의 지식과 기능의 습득  ③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제시, 설명, 옹호, 반박할 수 있는 능력의 습득  ④ 협동학습능력 등이다.

4) 교사의 역할
① 복잡하고, 비구조적이며, 특정 상황에 기반하고 있는 문제를 만들어 제시한다.
②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한 다음에는 학생들로 하여금 팀을 구성하도록 한다.
③ 미리 주어진 과제 해결에 도움이 될만한 학습자료들을 수집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④ 다양한 학습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도한다.
⑤ 개별학습시간 뿐만 아니라 팀학습 과정 중에서도 자기성찰적 사고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극 권장하고 지도
⑥ 학습자들에게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BL-com  (0) 2010.01.06
[스크랩] 1.1. PBL의 개념  (0) 2010.01.05
[스크랩] 1. PBL 자원의 기능적 분류  (0) 2010.01.05
[스크랩] PBL 문제특성  (0) 2010.01.05
[스크랩] PBL 학습절차  (0) 201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