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스크랩] 1.1. 문제 중심 학습 모형을 적용한 의도

bluebird2 2010. 1. 5. 23:37

 

문제 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 : PBL)은 실제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수업상황을 구조화하는 교육적 접근이다. 학습자들이 소그룹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문제를 협력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해결하고, 이를 통해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도록 하는 교수 학습 형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비추어 보았을 때, 우리 조가 생각한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단원이 ‘인터넷 검색하기’였다. 이제 더 이상 수많은 지식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시대는 지났다. 문제 상황에 부딪혔을 때, 보다 현명하게 대처하려면 많은 양의 지식보다는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 정보를 스스로 선별하여 통합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번 수업의 목표는 ‘가장 효율적인 검색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다.’이다. 이 수업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학습자는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와 더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용한 정보를 찾고 이를 통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제 상황을 ‘학급 민요 지도 만들기’로 선정하여 각 모둠별(6모둠)로 각 지역의 민요 및 그 특색을 조사하고, 그것을 취합하여 완성하는 것으로 문제 중심 학습에서 강조하고 있는 소그룹 협력학습 요소도 포함되어 있어 모둠원간의 협력학습을 통하여 의사소통 기술 및 협동의식을 배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각 모둠에게 주어진 구체적인 문제 상황은 자신이 맡은 지역의 민요 및 그 특색을 정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생들은 모둠별로 주어진 문제를 분석하고, 전 차시에서 배운 다양한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는 방향을 잡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과제를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탐구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활동(가장 효율적인 검색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아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모둠원과 토론으로 비판적 사고력 형성 기대)을 하게 될 것이고, 결국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자신에게 의미 있는 지식과 기능 및 사고체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조가 설정한 교실은 1인 1PC체제로 전체 학급 30명을 6모둠으로 나누어 수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일단 개인당 PC가 주어졌기 때문에 모둠별로 토론을 수행한 후에 각각 역할 분담을 하여 작업을 수행하면 보다 효율적인 PBL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화상회의 원격강의 수업행동분석실
글쓴이 : 길과꿈 원글보기
메모 :